| 전공기초 |  | 영상기획/제작연구(Video project or production    research) | 영상기획/제작은 영상제작의 목적 및 방향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설계해보고 그 결과물을 토대로 홍보 및 판매 전략을 유추하고 연구한다. | 
  
    | 전공기초 |  | 발상의전환(Brainstorming) | 창의성을 신장 할 수 있는 훈련과정을 중심으로 생활문화    전반에 걸친 경험을 통해 개인의 무한한 창조성을 자극하여 창조적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한다. | 
  
    | 전공기초 |  | 컴퓨터게임의이해1(Understanding the Computer Game1) | 국내외의 컴퓨터 게임 트랜드와 그 개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게임산업의 흐름을 이해하고 연구와 토론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인다. | 
  
    | 전공기초 |  | 컴퓨터게임의이해2(Understanding the Computer Game2) | 컴퓨터 게임의 이해1과 연계된 과목으로 보다 폭 넓은    게임산업의 측면이 소개된다. | 
  
    | 전공기초 |  | 채색기법연구(Study of coloring technique) | 다양한 채색 기법을 익힘으로써 소재와 재료에 따른 조형적    감각의 폭을 넓히도록 한다. | 
  
    | 전공기초 |  | 1인창업지원연구(One-person start-up supporting) | 패션과 뷰티에 관련된 창업을 위하여 각 분야의 산업현장을    살펴보고, 창업에 필요한 예비지식을 함양하여 1인 창업능력을 기른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비주얼스토리텔링(Visual storytelling) | 화면의 시각적 의미를 실습 및 조사를 통해 이해하고 영상이    스토리에 미치는지 영향을 연구하여 영상미학의 실체를 검증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영화구조분석방법(Analysis of film structure) | 기존 영화의 분석을 통해 다양한 영화구조의 대해 연구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고급영화제작워크숍(Advanced filmmaking workshop) | 고급 영화제작 워크숍을 통해 영화의 전문화된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실습하여 영상콘텐츠로써의 영화의 역할을 연구하고 실질적 영화제작과정을 통해 영화의 완성도와 예술성의 접근 방법을 검토하고    영화제작에 대한 구체적 방법론을 연구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고급카메라연기딕션(luxury the longest dikssyeon kamerayeon) | 전문화된 학습방법의 도입을 통해 언어의 구조를 이해하고    화법의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며 실습을 통해 대입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영상촬영마스터클래스(Master Class of the imaging) | 영상촬영마스터클래스는 영상 언어의 실제와 문법에 대한    강의를 토대로 영상의 기초이론 및 용어정리, 화면구성의 기초이론과 촬영, 편집, 녹음등의 실습을 통해 촬영기술의 방법을 연구하여    영상언어로서 영화의 표현방법을 도모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영화포스트디자인(VFX) | 3D,VFX,사운드의 제작 공정을 기술적 측면에서 습득하고    시행하여 영상산업에서 후반작업의 비중과 역할을 알아본 다음 실제 영화에 접목시킬 방법을 연구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게임디자인1(Game Design1) | 게임 공간, 메카닉, 플레이어 등 게임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여 핵심 원칙을 탐색, 적용 및 토론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게임디자인2(Game Design2) | 게임디자인1의 연계 과정으로 게임 제작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학습한다. 다양한 요소를 도입 및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게임 규칙을 배우고 원칙을 게임 프로젝트에 적용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3D컴퓨터그래픽스1(3D Computer Graphics1) | 3D 게임 그래픽 제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배우는 과정으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작실습을 하게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3D컴퓨터그래픽스2(3D Computer Graphics2) | 3D 컴퓨터 그래픽스 1의 연계과정으로 보다 심화된    응용프로그램 사용법과 제작실습을 진행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게임제작워크샵1(Game Production Workshop1) | 기획부터 완성까지를 목표로 팀을 구성하여 게임제작을 위한    파이프라인을 경험하는 과목이며 창의력과 기술력을 발휘하여 학생의 문제해결 능력과 팀웍을 증진한다. | 
  
    | 전공공통 | 영화게임콘텐츠 | 게임제작워크샵2(Game Production Workshop2) | 게임제작워크샵1의 연계과정으로 심화된 게임제작기법을    학습한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테크니컬디자인연구(Technical Design) | 테크니컬 디자이너의 양성을 목표로 하여 이론 및 실무    적용의 기초과정을 연구한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패턴CAD연구(Pattern CAD) | 패션 CAD 시스템을 통해 패턴제작 방법과 활용,    그레이딩, 마커하는 방법을 익힌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오뜨꾸띄르의상연구(Haute Couture Costume) | 디자인 연구 및 패턴과정을 거쳐 고급 의상제작 및 토탈    개념을 이해하고 연구한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핀워크디자인연구(Pinwork design) | 다양한 기법과 연구를 통해 평면패턴을 넘어 입체적인 디자인    의상을 제작할 수 있는 감각을 기른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체형미학연구(Body Aesthetics) | 인체의 특징적인 요소를 분석 및 관찰을 통해 인체의    전반적인 구조적 특징을 이해하고 의복과 패턴의 관계 및 기본적인 모발, 두피, 피부에 대하여 연구한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패션뷰티색채연구(Fashion Beauty Color expression Methods) | 패션뷰티 산업에 관련된 색채의 중요성과 더불어 그에 따른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색채 계획능력을 함양한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패션뷰티일러스트실무(Fashion Beauty Illustration Practice) | 바디드로잉 및 패션뷰티 디자인의 기획과정으로 예술적인    감각을 학습시켜 선과 터치, 명암과정 등 미적 감각을 향상시킨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논문구성법(Thesis Organization Methods) | 이론논문과 실기논문작성을 위한 연구설계, 연구과정 등을    학습함으로써 선행연구논문을 분석하고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트랜드메이크업연구(Study of Trend Makeup) | 트랜드에 맞는 메이크업 용어와 명칭을 이해하고 기초적인    메이크업의 이미지를 분석하며, 테크닉적인 체계를 정리하여 전문성을 유도한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바디페인팅연구(Body painting technique) | 인체의 곡선을 이용한 작품을 연출/개발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네일아트연구(Nail Art Training) | 아름다운 손과 발을 위해 기본적인 네일케어를 바탕으로    인조손톱 아트 및 다양한 네일 디자인 기법을 익혀 예술적인 이미지 연출법을 익힌다. | 
  
    | 전공공통 | 패션뷰티 | 뷰티에스테틱연구(Beauty esthetic) | 피부구조와 피부유형에 따른 특성과 전반적인 이론을    이해함으로써 스킨케어, 향요법 등 토탈적인 에스테틱을 연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