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신문

전체기사

  • 청대신문
  • 전체기사
전체기사 상세보기, 제목, 카테고리, 내용, 파일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기자단상】 빛바랜 깃발 아래 20살의 청춘들이 있음을
카테고리 칼럼

 
 지난달 27일 우리대학 교정에 설치됐던 대자보 깃발과 현수막이 임시로 철거됐다. 이는 설치된 지 4년 만에 생긴 일로,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한 충북지방노동위원회가 쟁의 조정 기간에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기 위해 성의를 표한 것이다.

 대학과 노조의 갈등은 내가 대학에 들어오기 전부터 있었던 문제로 꽤 오래됐다. 그런데도 이제는 끝나고 화해했거니 해서 조용하다 싶으면 그때쯤 다시 한번 갈등 관련 얘기가 들려왔다. 그래서 지난 4년 동안 우리대학 학우들은 늘 대학본부에 꽂혀있는 노조 깃발을 바라보며 학교를 다녔어야 했다.

 바람이 부는 날이면 흰 천이 펄럭이는 소리를 냈다. 강한 색깔을 지닌 그 깃발들이 얼마나 오래 꽂혀있었는지 어느새 빛이 바래 흰색이 됐었다. 매일 더욱 빛바래져 가는 깃발만큼 이 사태를 보는 나의 마음도 빛바래져 간다.

 학교는 학우들을 위한 교육의 공간이다. 학우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질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교는 노력해야 한다. 노사분쟁을 해결하는 것이 어렵겠지만, 이제는 해결해야 한다. 대자보 깃발과 현수막이 임시로 철거되는 것이 아닌 대학 내에서 아예 사라져야 한다. 더이상 미래에 들어올 신입생들에게 이 사건을 물려주고 학교에 꽂힌 노조 깃발을 보여주는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또한, 대학의 발전에 있어서도 대학과 노조는 좋은 상생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13년 약 939만 명이던 학령인구는 올해 약 748만 명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더불어민주당 도종환 국회의원이 교육부에 제출한 ‘수도권·지방대학 주요 교육지표 현황’ 분석 결과에선 최근 3년간 지방대학의 입학생 충원율 현황은 96.4%였다. 대학 정원 감축 인원도 지방이 75.3%이다. 이 상황에서 우리대학의 안 좋은 모습을 계속해서 대외에 내보낸다면 우리대학의 미래는 어두워질 것이다. 우리대학이 꿈꾸는 중부권 최고의 명문 사립대가 되기 위해선 먼저 지역에서 인정을 받아 지역 최고의 대학이 돼야 한다. 그 이후 권역을, 그리고 전국을 노려야 한다. 노조와 대학의 묵은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그 시발점이 돼줄 수 있다.

 대학과 노조 둘 다 빛바랜 깃발 아래 20살의 청춘들이 있음을 알아줬으면 한다. 그 꽂혀있는 깃발들이 하나둘 뽑힐 수 있도록, 더이상 우리대학 캠퍼스에서 깃발들이 펄럭이지 않도록 서로 한 발씩 물러서 대화했으면 한다.
 
<이준선 부장기자>
파일

담당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