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기초 |
|
건축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Architectural Research) |
건축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통하여 접근방법을 연구한다. |
전공기초 |
|
건축설계론(Architectural Design) |
건축적 개념이 공간적인 실제로서 이룩되는 과정을 통해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작품전개능력을 찾는다. 또한 실습을 통하여 설계과정을 진행한다. |
전공기초 |
|
건설관리론(Construction Management) |
건설공사에서 공정관리 및 기타 제반관리를 통하여 작업의 상호관계에 따른 합리적인 경영을 추구한다. |
전공기초 |
|
건축구조시스템(Building Structural System) |
건축구조물의 여러 형태의 구조시스템의 거동특성 및 해석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
전공기초 |
|
주거단지재생(Restoration Housing Complex) |
역사적 도심지구 내 도시공간구조 및 거주환경의 보전과 함께 현대 주거문화 패턴의 수용을 통하여 기존 주거단지의 재생을 연구한다. |
전공기초 |
|
건축기술사(History of Building Technology) |
지역문화유산으로서 고?근?현대 건축물에 관하여 설계?재료?구조?시공 등의 각 분야별로 건축기술의 변천과정 및 그 특성을 조사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철근콘크리트론(Theor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철근콘크리트의 부재설계 및 건축물의 극한강도설계법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철골구조론(Theory of Steel Structure) |
철골구조 요소와 접합부 구조물의 분석 및 그에 관련된 각종 규준의 이론에 대해 비교 검토한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구조설계세미나(Seminar in Structural Design) |
구조설계이론과 세미나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구조해석론(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 |
건축물 구조해석의 최근동향 및 특별해석방법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유한요소법입문(Introduction to Finite Element Method) |
구조역학 및 고체역학에서의 유한요소법 응용에 대한 입문 과정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재료역학특론(Advanced Material Mechanics) |
재료역학의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구조부재의 응력특성 및 거동형태를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구조최적화론(Structural Optimization) |
건축 구조물의 최적화 이론 및 최적설계방법을 통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설계방법을 익힌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구조물성능평가연구(Performance Evaluation of Structure) |
건축구조물의 손상도 및 구조성능 평가기법에 대해 연구하며 이를 통한 구조물 성능 개선 방안을 강구 한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특수구조물설계(Design of Special Structure) |
대공간 구조물 및 초고층 구조물과 같은 특수구조물의 구조해석 및 설계방법을 배운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내진설계론(Seismic Design of Structure) |
지진하중의 특성 및 구조물의 내진설계 방법 및 실무적용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구조물전산설계(Computer Application Design of Structure) |
컴퓨터를 이용한 구조물의 구조해석 및 구조설계 프로그램을 통한 실제 구조물의 설계방법을 익힌 다. |
전공공통 |
건축구조 |
탄성학(Elasticity) |
탄성이론에 기초한 구조물의 거동 원리 및 역학적 특성을 배운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한국건축사론(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
한국건축의 각 시대별 건축양식과 사상을 분석하여 특성을 비교 상론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건축조형론(Theory of Architectural Form and Design) |
건축조형의 원리를 연구하고 감성적 접촉과 이지적 논리가 연관된 주제별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이미지의 구현과 올바른 조형의 활용능력을 키운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건축계획특론(Advanced Architectural Planning) |
건축물의 시스템모델을 중심으로 디자인 이론과 이용 등에 관하여 분석하고 사례를 들어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도시설계론(Advanced Urban Design) |
건축과 도시의 관계속에서 일반개념을 설명하고 도시구성론과 도시기본계획수립에 따른 분야별 계획상의 이론 및 설계를 습득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건축설비론(Theory of Architectural Equipments) |
쾌적한 환경의 조성을 위한 설비문제를 건축환경디자인의 한 결정요소로서 이해시키고 현대건축의 기계화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기술성과 각 시스템의 방법을 이해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동.서양건축사론(History of Oriental and Western Architecture) |
중국, 일본의 건축사 및 한국과 관계된 동양건축의 특성을 파악하고 서양건축의 각 시대의 건축양식과 사상을 인문, 사회적 배경에 의해 비교 상론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역사건축물실측연구(Measured Drawings for Historic Architecture) |
역사건축물의 측정방법과 이론을 고찰함과 동시에, 지역의 역사건축물을 대상으로 기능?규모?구조?재료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원형과 변용부분에 관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측기법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근.현대건축론(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
서양 및 동양의 근?현대건축 형성 배경, 양식적 특징 및 전개과정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건축보존법(Preservation Law) |
건축문화유산의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체계를 이해하고, 지역건축의 보존과 관련하여 문화재보호법, 건축법, 도시계획법, 부동산개발정책, 조례 등 각종 관련법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건축행정론(Architectural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
지역도시 및 건축물에 필요한 행정절차를 관계법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지방자치 활성화와 지역특성화 를 위한 정책을 개발?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거주환경론(Theory of Housing and Environmental Planning) |
지역거주의 포괄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이론적인 고찰을 전개하고, 인간과 생활공간, 생활공간과 도시환경의 상호관계를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계획 |
지역건축연구(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Architecture and Towns) |
지역의 형성사와 도시공간구조의 변천과정을 파악하고, 지역의 가로경관, 도로형태, 주거지구조 및 형태에 관해 고찰함으로써 지역특성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콘크리트재료론(Theory of Concrete Materials) |
콘크리트 재료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원리를 소개하며 콘크리트재료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거동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재료실험론(Theory of Testing Materials) |
건축재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제반 재료실험에 대하여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건축일반재료론(Theory of Architectural Materials) |
각종 천연 및 인공 건축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용방법을 강구함으로서 건축디자인의 결정요소로서 보다 광범위한 현대건축재료의 정보를 파악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내구성론(Theory of Durability) |
각종 건축재료의 장기적인 환경 변화에 따른 재료의 특성변화 및 제반 내구성 실험방법을 연구하여, 각종재료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안전진단및평가(Safety Inspection and Evaluation) |
안전성이 결여되고 노후화가 진행된 건축구조물에 대한 상태평가와 유지관리의 효율화를 위하여 각종 비파괴 장비를 이용한 진단기법 및 구조안전성평가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역사적재료연구(Historical Building Materials Research) |
시대적 변천에 따른 각종 천연 및 인공 건축재료의 발전과정과 건물에의 활용사례 등을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건축재료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건축구체시공론(Theory of building frame construction) |
건축물의 뼈대를 구성하는 각종 구조체의 시공이론을 탐구하고 이와 연관된 새로운 재료 및 시공법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건축마감시공론(Theory of Building Finishing Element Construction) |
건축물의 마감, 차단 및 내화 등 비구조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부위에 대한 시공이론을 탐구하고 이와 연관된 새로운 재료 및 시공법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건축생산신기술론(New Technology in Architectural Production) |
건설공사에 있어 시공성 및 품질향상, 원가절감 그리고 공기단축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 기술 및 공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공정관리론(Theory of Time Management) |
건설프로젝트에 있어 공정의 계획 및 실시에 대한 제이론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의 상호관 계에 따른 합리적인 관리방법을 모색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품질관리론(Theory of Quality Management) |
건설프로젝트에 있어 프로젝트 단계별, 투입자재별 품질관리기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아울러 최고경영 자적 입장에서의 품질경영에 관한 이론을 강의한다. |
전공공통 |
건축재료및시공 |
원가관리론(Theory of Cost Management) |
건설프로젝트에 있어 주어진 예산과 일정을 토대로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제반자원의 소요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도시재생제도와 정책론(Urban Regeneration Policy) |
국내·외의 도시재생 관련 정책들의 배경과 이론을 연구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부정책들과 연계하여 관련 문헌과 사례를 통해 이해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커뮤니티 도시재생론(Theory of Urban Regeneration in Community) |
도시재생은 지역 주민들과 함께 시행되는 정책으로 지역의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시행되는 도시재생 이론과 사례를 통해 연구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도시안전과 스마트시티(CPTED & Smart City) |
도시는 다양한 주체들이 다양한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최근에 이를 위한 방법으로 안전 도시와 스마트시티에 관한 연구들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이론과 사례를 연구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사회조사 및 통계분석(Social Survey & Statistical Analysis) |
도시 분야의 연구를 위해서는 물리적 공간과 도시시설에 관한 데이터 분석 및 도시공간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사회현상에 관한 사회조사 및 통계분석 방법을 습득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데이터 분석과 컴퓨터응용(Urban Data Analysis based on Computer ) |
도시 데이터는 양이 많고 종류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며 그 적용과 응용 방법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협의형계획론(Theory of Collaborative Planning) |
도시는 다양한 주체들 간의 합의와 협력을 통해 정책이 결정되고 시행하므로 이 기초가 되는 거버넌스 협의형 도시계획 이론과 정책에 관하여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갈등관리와 합의형성기법(Conflict Management & Methods of Agreement Building) |
도시재생사업의 시행을 위해서는 각 참여주체 간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주체 간에 발생하는 갈등해결과 합의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연구하며, 갈등관리와 합의형성기법으로 퍼실리테이션(FT) 실습을 통해 그 방법을 습득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토지이용계획과 마을만들기(Land Use Planing & Community Planning) |
인구감소와 도시기능의 쇠퇴는 기존 도시들의 토지이용계획 변화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새로운 도시질서와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토지이용계획 이론에 대해 연구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커뮤니티경제학(Economy in Community) |
도시재생사업이 시행되며 각 지역별로 지역커뮤니티 기반의 경제 주체인 협동조합 및 마을기업이 조직되고 있으며 점차 그 역할도 증대되어 가고 있어 이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도시문화론(Cultural Planning in Urban) |
도시재생사업의 주요 자원으로 도시에 내재하는 도시문화 및 도시의 콘텍스트에 관해 형성 과정 및 발전과 변화과정에 관해 이론 및 사례를 연구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도시재생기획실무(Practice Planning of Urban Regeneration) |
지역 분석 및 실행 제도를 기반으로 실행 가능한 도시재생사업 기획서의 작성 실습을 통해 사업기획 능력을 배양한다. |
전공공통 |
도시재생 |
부동산관리와 지속가능성(Management of Real Estate & Sustainability in Urban) |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는 지역 내 커뮤니티의 증진과 더불어 건축물 및 토지이용의 활성화를 동반하므로 지역의 상권 변화와 젠트리피케이션 등 도시의 변화 현상에 관해 연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