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신문

사회

  • 청대신문
  • 사회
사회 상세보기, 제목, 카테고리, 내용, 파일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사회】현금 없는 사회로 인해 변화된 대학 인근 - 현금 없는 사회에 대한 재학생, 자영업자, 교수의 생각을 들어보다
카테고리 사회
 

현금 없는 사회로 인해 변화된 대학 인근

현금 없는 사회에 대한 재학생, 자영업자, 교수의 생각을 들어보다

 

현금 없는 가게, 우리대학 인근 식당은..

 현금 없는 가게는 점차 우리대학 인근 식당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실물 카드 혹은 앱 카드를 활용한 결제가 증가하면서 테이블 오더 형식 혹은 키오스크 형식의 주문 방식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내 지급결제 동향’에 따르면, 2020년 1~9월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대면 결제액이 하루평균 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7% 증가했다. 더불어, 신용·체크카드 일 평균 이용액도 2조 5,000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4% 증가했다. 

 우리대학 중문에 위치한 ‘면식당’의 경우 테이블 오더의 형식으로 앉은 자리에서 주문할 수 있다. 북문에 있는 ‘카니식당’은 현금 없는 가게라고 명시해 둬 키오스크를 통한 카드 주문만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대학 인근에 있는 ‘부활’, ‘봉득식당’, ‘민트와플카페’ 등 대부분의 식당이 키오스크를 도입해 카드 주문 및 결제를 유도하고 있다. 

 이에 <청대신문>은 현금 없는 사회에 대한 자영업자의 이야기를 듣고자 지난 11일 ‘면식당’, ‘봉득식당’ 사장님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손님들의 주된 결제 수단이 무엇인지 묻자, 면식당 사장님은 “일주일 중 현금으로 결제하시는 손님은 2~3명”이며 “나머지 손님들은 실물 카드를 통해 결제한다”고 말했다. 

  테이블 오더를 매장에 도입한 이유를 묻자, 봉득식당 사장님은 “매장 위치 특성상 점심시간에 학생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다 보니 매장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테이블 오더를 도입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현금 없는 사회에 대한 의견을 묻자 두 분 모두 긍정적이며, “실물 카드 및 앱 카드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편의성”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더불어, “현금보다 카드가 간편하며 거스름돈으로 인해 실수할 염려도 없기에 선호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대학 학우들의 결제 수단 선호도 및 현금 없는 사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지난 9일부터 16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총 35명의 재학생이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최근 일주일 내에 현금으로 결제한 경험이 있는지 묻자 ‘예’는 37.1%(13명), ‘아니요’는 62.9%(22명)로 나타났다. 주로 사용하는 결제 수단에 대해서는 ‘실물 카드’ 60%(21명), ‘앱 카드’ 40%(14명)로 응답했다. 실물 카드와 앱 카드를 자주 이용하는 이유로 ‘현금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 94.3%(33명)로 가장 높았다. 더불어 현금 없는 사회에 대한 인식을 묻자 ‘긍정적’ 37.1%(13명), ‘부정적’ 62.9%(22명)로 나타났다.
 

오직 현금으로 살아본 하루

 현금 없는 사회의 도래로 우리대학 인근에서도 키오스크 및 테이블 오더 등 카드의 결제를 유도하는 가게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에, 지난 16일 <청대신문>은 현금만으로 가게 및 매장을 방문해 현재 상황을 파악해 봤다. 우리대학 학우들이 많이 이용하는 매장을 중심으로 메가커피 청주예술대점, 다이소 청주우암점, 우리대학 학생 식당을 방문해 취재해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