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신문

칼럼

  • 청대신문
  • 칼럼
칼럼 상세보기, 제목, 카테고리, 내용, 파일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와우촌감】 ‘아阿Q식 정신승리법’의 함정
카테고리 칼럼
노신魯迅은 1881년 중국 절강성 소흥紹興에서 태어나 1936년 상해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중국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사상가로서 「광인일기」와 「아Q정전」 등의 작품을 써서 당시 중국의 낡은 전통을 타파하고 잠든 중국인들의 의식을 각성시키고자 했다.

청소년기의 노신은 ‘사서삼경’과 같은 전통 교육을 받으며 부유한 가정환경에서 성장했다. 그러다가 청나라 관료였던 할아버지가 입시부정 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고 아버지마저 투병 생활 끝에 사망하자 가세가 급격히 기울어 고향을 떠나야만 했다. 이후 그는 자립을 위해 학비가 면제되는 남경의 신식학교에 입학하여 서양식 근대 교육을 접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다윈의 진화론과 민주주의 등 새로운 이론에 깊은 영향을 받아 학업에 몰두했고 마침내 1902년 국비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 유학길에 오르게 된다.

노신은 일본에서 의학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그것은 그가 중국의 전통 의학으로는 아버지를 살릴 수 없었던 아픈 경험과 더불어 신식 의학으로 병든 중국인의 육체를 건강하게 개선하고자 다짐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유학시절 강의실에서 접한 이른바 ‘환등기사건’으로 인해 충격을 받고 의학도의 길을 포기하게 된다. 어느 날, 노신은 강의 시간에 일본인 교수가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 틀어준 환등기의 영상 속에서 건장한 한 중국인이 러시아의 첩자로 몰려 일본군의 칼에 잔인하게 처형당하는 장면을 보게 된다. 당시 강의실에서 유일하게 유학생 신분이었던 노신은 주변의 일본 학생들이 그 장면을 보고 환호하는 것을 목격했고, 또 화면 속에서 처형 장면을 지켜보던 수많은 중국인들의 나약하고 얼빠진 모습에 절망했다. 특히 노신은 화면 속의 중국인들이 대부분 건장한 신체를 가진 점에 주목하면서 정작 바뀌어야 할 것은 육체가 아니라 낡은 정신이라는 자각을 하게 된다.

노신은 유학생의 길을 접고 귀국하여 펜을 잡고 중국인들의 낡은 의식을 깨우치기 위해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 시작한다. 혁명적 문인으로 다시 태어난 노신은 우선 대중들에게 가장 빨리 다가갈 수 있는 방법으로 소설을 선택했다. 이때 그가 발표한 소설 가운데 「아Q정전阿Q正傳」은 이후 한국을 비롯해 전세계에 그를 알리는 대표적인 작품이 되었다.

소설 「아Q정전」에 등장하는 주인공 ‘아Q’는 이름과 출신조차 알 수 없는 떠돌이인데, 작가가 그의 별칭을 ‘Q’라고 정한 것은 그 영어 알파벳이 과거 중국인을 상징하는 변발머리 모양을 닮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Q’는 당시 어디를 가든 접할 수 있는 중국인의 일반적 모습을 상징한다. 그는 어느 작은 마을의 날품팔이로서 볼 품 없는 외모와 괴상한 성격으로 인해 사람들로부터 늘 놀림과 구타를 당한다. 하지만 그는 언제나 근거 없는 자신감에 차 있었고 심지어 우월감 속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이것은 바로 그 유명한 아Q의 ‘정신승리법’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가령 그는 다른 이로부터 이유 없이 구타를 당하더라도 “요즘은 자식이 부모를 때리기도 한다는데, 자식한테 맞은 셈 치자. 어쨌든 내가 그의 부모니까 내가 이긴 거야.”라는 식으로 늘 자기합리화를 한다. 또 ‘’사람이 살다 보면 한 대 맞을 수도 있고, 감옥에 갈 수도 있다.“라며 자신에게 닥친 모든 상황을 운명의 탓으로 돌린다.

「아Q정전」은 중국은 물론이고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매우 유명한 작품이며, 이 소설을 접한 독자는 흔히 ‘정신승리법’이라는 단어를 떠올리곤 한다. 즉 ”마음을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자신에게 닥친 상황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라는 일차원적인 메시지에 주목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로 여기에 치명적인 함정이 있다. 노신이 ‘정신승리법’이라는 단어를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한 메시지는 사실 그 이면에 있다. 작가는 소위 ‘정신승리법’을 통해 매번 불합리하게 자기변명을 늘어놓는 중국인들의 답답한 의식 상태와 그로 인해 개인이든 국가든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같은 실수와 실패를 반복하는 당시 중국 사회의 비극적인 상황을 비판하고자 한 것이다.

작품이 발표된 지 10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혹시 나도 모르게 아Q식 ‘정신승리법’의 함정에 빠져 있는 것은 아닌지 돌이켜보아야 한다. 만약 강자 앞에서 나약하고 약자 앞에서만 강한 ‘노예의식’과 끊임없이 구차한 변명으로 상황을 모면하고자 하는 ‘기회주의’가 내 안에 존재한다면 이 기회에 과감하게 떨쳐버리고 내 운명의 주체로서 다시 한 번 우뚝 서야 할 것이다.

이시찬<동양어문학전공>교수
파일

담당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