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신문

사회

  • 청대신문
  • 사회
사회 상세보기, 제목, 카테고리, 내용, 파일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사회】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 온라인 대학원부터 혁신 공유 대학까지
카테고리 사회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학가에서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자 교육부는 ‘고등교육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내년부터는 사이버대학이 아닌 일반대학에서도 온라인 수업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부실한 원격수업을 막기 위한 교육부 훈령·인증제도 등도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규제 개선안’과 ‘혁신 지원안’이 발표된 배경과 그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

<편집자주>

∎ 교육과정 혁신의 기회
전례 없는 코로나19 사태에 맞서 초·중·고와 대부분 대학이 원격수업으로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수업의 질적 하락, 시스템상의 오류 및 서버 지연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했다. 이에 각 대학은 공정한 성적산출과 등록금 반환에 대한 논란을 피할 수 없었다.

교육부가 영남대 고등교육중점연구소에 의뢰해 8월 10일부터 8월 23일까지 2주간 전국 대학생 2만 8,41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일반대학 1학기 원격수업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실제로 대학생 10명 중 4명은 1학기 원격수업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1학기 원격수업의 만족도에 대해 대학생들은 ‘높다(39.6%)’, ‘보통(30.5%)’, ‘높지 않다(29.8%)’ 순으로 응답했다. 1학기 원격수업에 대한 대학의 준비 정도는 ‘높지 않다(48.1%)’가 절반에 육박했다. 또한, 원격수업의 아쉬운 부분으로는 ‘교수·다른 수강생과 소통 부족(59.2%)’이 꼽혔다. 이와 같은 원격수업에 대한 의견 및 피드백이 전국 곳곳에서 SNS, 시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는 교육 혁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교육부는 지난달 9일에 열린 제15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 장관회의에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은 지난 7월 2일에 개최된 ‘포스트 코로나 교육 대전환을 위한 총장과의 대화’에서 논의된 내용을 기반으로 대학생, 교원 등 현장의 목소리를 최종 반영해 확정됐다.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은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효율적인 학습방법으로 꼽히지만, 대면 수업을 통한 소통의 질 및 배움에 있어서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부분이 부족한 편이다. 즉, 자기 주도성과 의지력을 향상하려는 노력이 동반돼야 효율을 극대화하는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교육부 유은혜 장관은 “코로나19라는 전례 없는 상황을 우리 대학이 교육과정 혁신의 기회로 삼아 대학 간 공유와 협력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고등교육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 기대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일반대학도 온라인 대학원으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사이버 대학뿐 아니라 일반대학도 온라인 대학원 즉, 온라인 석사 학위과정을 개설할 수 있다. 온라인 석사 학위과정이란 온라인을 통해 강의를 들어도 석사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제도다. 한국보다는 영미권의 사례에서 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영미권에서도 일반대학은 상대적으로 전문적인 기술과 마케팅 등이 부족해 적극적인 개발에 나서지 못했고, 주로 컴퓨터과학 분야를 대상으로 했다. 한국 또한 온라인 석사 학위과정을 인가받은 사이버 대학만 가능했으나 이번에 그 대상이 확대된 것이다.

이번 혁신안에 의하면 국내 대학 단독은 물론 대학 간 공동 운영도 허용된다. 또한, 국내 대학과 외국 대학 간의 공동 온라인 학사·석사 학위과정도 가능하다. 현재 해외 유학생 유치가 어려워진 점을 반영해 유학생이 온라인으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단, 의·치·한의학전문대학과 법학전문대학원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온라인 석사 학위과정은 해외 여러 대학과 국내 일부 사이버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다. 현재 영국을 포함해 유럽과 미국의 대학교에서는 O2O(Online to Offline,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교육을 시행 중이다. 국내에서는 5개 대학원과 12개의 전공이 개설된 한양사이버대학교가 대표적이다.

‘일반대학의 온라인 대학원 개설’과 ‘온라인을 통한 대학 간 공동 학위 운영’을 위해 온라인 학점 개설·이수 학점 상한 규제도 변경됐다. 교육부는 현재 대학 전체 교과목의 20% 이내로 제한했던 온라인 과목 개설 기준을 폐지하고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했다. 이 규제는 지난 1학기 코로나19 확산세로 인해 한시적으로 풀린 바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미 관련 규정이 개선돼 각 대학에 안내된 상태”라며 “대학에서도 준비가 필요한 만큼 계도 기간을 두고 내년 3월 1일부터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격수업 100% 개설·이수 여부는 사이버대학과의 차별 문제로 인해 막판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수업 관련 규제가 완화되면서 기존 사이버 대학과의 더 확실한 기준점이 필요해졌다. 교육부는 올 하반기에 이와 관련된 자세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할 예정이다.

∎ 한국형 미네르바 스쿨을 향해
지난달 9일 회의에서는 온라인 대학원, 온라인 과목 개설 기준 관련 ‘규제 개선안’과 함께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한 ‘혁신 지원안’이 나왔다. 혁신 지원안 중 중요한 내용으로는 ‘뉴 노멀 원격교육 내실화 추진’과 ‘혁신 공유 대학’을 꼽을 수 있다.

‘뉴 노멀 원격교육 내실화 추진’은 부실한 원격수업을 ‘뉴 노멀’로 새롭게 정립해 혁신 교육의 계기로 삼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이에 교육부는 대학의 원격수업 질 관리 체제를 구축하고자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에 관한 훈령’ 제정을 발표했다. 각 대학이 자체적으로 원격수업관리위원회와 원격교육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콘텐츠 제작 및 교직원 역량 제고를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또 학기별 2회 이상 학생 강의평가 공개, 외부 콘텐츠 인정 기준 마련 등도 포함된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올 하반기 중 총 1,000억 원 규모의 긴급재정지원과 4,200명의 온라인 원격도우미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내년에는 ‘원격수업 인증제’를 도입하고, 대학 기본역량진단에 ‘비대면 교육활동 실적’도 반영할 계획이다.

‘혁신 공유 대학’은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5세대 이동통신 등 21개 신기술 분야 인재 10만 명을 2026년까지 혁신공유대학을 통해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혁신공유대학은 대학들이 보유한 기술, 교원, 시설을 공유하고 교육과정 역시 대학들이 함께 개발하고 운영하는 일종의 대학 연합체를 의미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 사업에 대해 “내년 1,048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현장 의견수렴 등을 거쳐 이르면 올해 말부터 참여 대학을 공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대학 학사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방안들은 새로운 대학 교육 흐름에 따른 혁신적인 부분이 많다.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더 나은 고등교육을 위한 첫발이니만큼 ‘한국형 미네르바 스쿨’을 향한 기대도 나오고 있다. 미네르바 스쿨은 2014년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를 기반으로 시행된 대학 과정이다. 4년간 한국을 포함한 7개국을 이동하며 온라인 기반 경험형 수업을 진행한다. 양질의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며 더 나은 품질을 위해 한 수업당 약 13~15명의 학생이 참여한다. 미네르바 스쿨은 학생 개개인의 역량과 잠재력을 끌어내고 많은 경험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에 앞으로 다가올 미래 교육에 어울리는 글로벌 혁신 대학이라고 할 수 있다.

<권예진, 강서윤, 박지혜 기자>
파일

담당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