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홈
- 청대신문
- 전체기사
제목 | 【기자단상】 지방대 학생으로 살아남기 |
---|---|
카테고리 | 칼럼 |
지방대 학생으로 살아남기
최근, 서울대학교 발전재단이 서울대 재학생 가족에게 ‘서울대생 가족’임을 드러내는 차량 스티커를 배포해 갑론을박이 펼쳐진 가운데, ‘학벌주의를 조장한다’는 한 시민단체의 진정이 제기돼 국가인권위원회의 판단을 받게 됐다. “좋은 대학을 가야 취업을 잘한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우리사회는 대학에 대한 자부심과 교육열이 상당하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자신이 원하는 대학교를 진학하지 못하면 스스로 낙오자 또는 실패자로 여기기도 한다. 우리사회에 학벌주의가 얼마나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을까.
문재인 정부는 학벌주의에서 비롯된 차별을 막기 위해 블라인드 채용을 권고했다. 블라인드 채용은 전반적인 채용 과정에서 제공되는 자료인 출신지·학력·성별 등 불합리한 차별을 야기할 수 있는 항목을 요구하지 않고, 실력(직무 능력)으로 평가해 인재를 채용하는 방식이다. 블라인드 채용 도입 전에는 지방대 학생들이 1차 서류 면접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도입 이후에는 지방대 학생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졌다. 블라인드 채용은 공기업부터 시작해 점점 확대됐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학벌이 아닌 능력 중심의 인재를 선발하겠다며 블라인드 채용을 확대했지만, 지방대 출신 취업 준비생 10명 중 6명은 취업에 불리하다고 느끼고 있다. 지난 2018년도 잡코리아는 취준생 887명을 대상으로 출신지에 따른 취업 전망을 묻는 설문을 진행한 결과, 54.7%가 “출신지로 인해 취업이 불리하다 생각한다”고 답했다. 여전히 블라인드 채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출신지에 따른 취업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부는 지방대 학생들을 위해 공기관을 중심으로 지방대 출신 인재의 취업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등 지역 인재 인센티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지방대 학생들의 인식 개선도 필요해 보인다. 지방대 학생 중에는 지방대를 낮게 평가하고 지레짐작으로 시도조차 하지 않는 학생들도 있다.
지방대라는 타이틀로 자신을 낮추기보다는 하고자 하는 직업군의 능력과 스펙을 쌓아 꿋꿋하게 나아가길 바라다. 또,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한계를 고려하되,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꿈을 펼쳐나가는 건 어떨까.
<전은빈 부장기자>
dmsqls0504@cju.ac.kr
|
|
파일 |